윤 대통령, 오스틴 美국방과 만찬 “北, 하마스식 도발땐 단호히 응징”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한미안보협의회의(SCM) 미측 대표단을 격려하며 만찬을 함께했다.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은 12일 한미안보협의회(SCM) 미국 측 대표단을 만나 “북한이 오판해 하마스식 기습 공격을 포함한 어떠한 도발을 감행하더라도 즉각적으로 단호히 응징할 수 있는 한미 연합 대비 태세를 유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한남동 관저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윤대통령오스국방과만하마스식도발땐단호히응징 찰스 브라운 미 합참의장 등을 초청해 만찬을 함께하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이 전했다.
SCM은 한미 국방장관과 국방·외교 고위 관료가 참여하는 양국 간 최고위급 안보 협의체로, 13일 국방부에서 제55차 SSCM이 열린다.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무력 충돌이 북한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됐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또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억제·대응하기 위해 한미가 지난 7월 핵협의그룹(NCG)을 출범시킨 이후 정보공유·협의체계 구축·공동기획·공동실행력 강화를 위해 양측이 긴밀히 협력해온 점을 평가했다.
아울러 미국 전략자산 전개 확대 등 관련 후속 조치가 속도감 있게 추진되고 있는 것도 높게 평가했다고 이 대변인은 전했다.
윤 대통령은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한 이번 SCM은 한미동맹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위한 미국의 굳건한 안보 의지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 찰스 브라운 미 합참의장 등 한미안보협의회의(SCM) 미국 측 대표단을 격려 만찬을 함께하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이에 오스틴 장관은 “그 어느 때보다 굳건한 한미동맹을 더욱 강력히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조 바이든 대통령의 확고한 뜻”이라고 답했다.
오스틴 장관은 이어 “미국의 모든 범주의 군사능력을 운용해 대한민국을 방어하겠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공약을 재확인했다.
아울러 “한미 NCG 협의는 바이든 대통령의 주요 관심사로서 이를 통해 확장억제 실행력과 실효성,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스틴 장관은 또 “한미 양국 청년 세대 간에 우주·사이버 영역을 포함한 과학기술 협력이 활발히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말했고, 윤 대통령은 “한미 및 한미일 간에 그러한 논의가 계속 이어지길 바란다”고 답했다.
만찬에는 미국 측에서 오스틴 장관과 브라운 합참의장을 비롯해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 존 아퀼리노인도태평양사령관, 폴 라캐머라주한미군사령관, 일라이래트너인태안보차관보 등이 참석했다.
대통령실과 정부에서는 신원식 국방부 장관,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김승겸 합참의장, 김태효 안보실 1차장, 인성환 안보실 2차장, 최병옥 국방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下一篇:[KH Explains] KG Mobility looks to turn to annual profit for 1st time in 7 years
相关文章:
- [KH Explains] KG Mobility looks to turn to annual profit for 1st time in 7 years
- [Korean History] In 2005, science world’s biggest scandal unravels in Seoul
- Shanghai art scene puts on fair show while struggling to recover from pandemic
- [Korean History] In 2005, science world’s biggest scandal unravels in Seoul
- 군사합의 효력 정지 책임 넘긴 北 "한반도 전쟁은 시점 문제"
- Posco International to build modular factory in Ukraine
- Seoul shares close higher as US inflation softens
- Finance minister calls for reenactment of corporate restructuring act
- [KH Explains] KG Mobility looks to turn to annual profit for 1st time in 7 years
- ‘Concrete Utopia’ clinches best picture at Daejong Film Awards
相关推荐:
- 'Sweet Home 2' returns with new characters, sophisticated monsters
- BNK Busan Bank to pilot English
- Samsung Bioepis to develop MSD's Keytruda biosimilar
- Prix Medicis winning Han Kang wants next novel to be like 'spring'
- National Orchestra of Korea's 'Winter Concert' to bring harmony of tradition, musicals
- National Changgeuk Company's endeavor to foster pansori composers continues
- Posco vows to foster startups, regional economies
- Russian delegation arrives in Pyongyang for trade, science talks: KCNA
- [Hello Indonesia] Digital innovation for financial inclusivity
- [KH explains] Chinese battery makers gobbling up Korean rivals’ European market share
- Festivals to illuminate Seoul’s winter nights
- [Global Finance Awards] Going global essential in era of digital finance
- [Hello Indonesia] Digital innovation for financial inclusivity
- 홍준표 "엑스포 박빙 보고…尹 파리 출장가게 한 참모들 징계해야"
- As streaming services raise fees, some turn to illegal streaming sites
- 이종석 헌재소장 임명안 국회 통과…수장 공백 21일 만에 해소
- Former head of Jogye Order dies in temple fire
- CHA to expand assistance for buried cultural heritage excavation
- [Hello Indonesia] Indonesian developer aims to build self
- Ilyon Woo's nonfiction lands on NYT's 10 best books of 2023
- 야당 29명 반란, 이재명 방탄 뚫렸다
- "KTX 꼭 타보고 싶다" 했던 김정은 "만족한 합의"…뭐길래
- 한동훈, 체포안 설명 8분 넘기자…“짧게 합시다” “왜 이리 시끄럽냐”
- 합의문도 없는 희한한 북·러 정상회담…결국 비즈니스 관계였나
- FSS issues advisories to fisheries cooperatives federation for W50b investment loss
- [이번 주 리뷰]美 Fed 기준금리 동결…이재명 체포동의안 가결(18~23일)
- Incheon Airport passenger traffic to recover during Chuseok holiday
- Naver's QR payment service available in 42 countries
- [Herald Interview] Korean team wins James Dyson Award with ‘hands